처음 시작은, KBS에서 방영해주는 다큐였더랬지
거기 나오는 시골로 귀향한 부부가 운영하는 까페에
LP판으로 가득찬 벽면, 그리고 그 부부가 지인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을 보았다.
20대 초반, 그때는 자취생활을 할 때였어서
턴테이블을 둘 곳이 없어 사지 않았다.
그때는 앞뒤 가리지 않고 사고 싶은건 뭐든 사던 철딱서니 없던 나이였으니,
제약은 공간뿐이었다. 어찌 보면 다행인지도
그러다 얼마전 마켓컬리 등급을 올리고 싶어,
모든 카테고리를 보며 살것이 없나 보던 중, 아래를 발견.
디자인도 레트로 감성이라 맘에 들었는데,
CD, USB, 라디오, 테이프, AUX, 게다가 AUX 까지 가능했기에,
카카오 26주 적금 만기된 김에 구매하였다.
LP는 아직 없지만, 차차 사기로 하고 구경하던 중에
또 생기는 궁금증
내가 원하는 음원을 LP로 만들 수는 없나?
원리를 찾아보자. 해서 찾아봄 (의식의 흐름대로 :-) )
턴테이블을 구동시키는 핵심인 카트리지를 알아야 한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에 달린 바늘의 움직임을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장치이며,
바늘이 레코드의 소리 골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
바늘과 연결된 자석 or 코일이 따라 움직이게 된다.
물론, 바늘으로 LP를 긇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것이기 때문에,
관련된 안티스케이팅도 중요해보인다.
우선 원리부터 알아보기로 했기때문에, 원리부터.
카트리지에는 크게 두 종류의 방식이 있다.
1. MM(Moving Magnet) 형 카트리지 방식
2. MC(Moving Coil) 형 카트리지 방식
공통 원리 | 원리 | 장점 | 단점 | |
MM형 | 카트리지 종류에 따라 카트리지 자석 혹은 코일 좌우에 코일 혹은 자석이 놓여 있어 자기장을 통해 자속과 기전력을 발생시킴 |
바늘의 안쪽에 자석이 연결됨 좌우에 코일이 위치 |
소리가 부드러움 | 고음이 부족 |
MC형 | 바늘의 안쪽에 코일이 감겨있는 방식 좌우에 자석 위치 코일이 프리 앰프의 Phono input 과 직접 연결됨 |
섬세함 | 신호가 약함 |
MC카트리지의 출력 임피던스 <<<<< MM카트리지의 출력 임피던스
그만큼 MM카트리지는 출력전압이 높다.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였음.
blog.naver.com/audiogallery1/222043367188
How to Manage Turntable
안녕하십니까.청담 뮤직큐레이터 SML 입니다.오늘은 현재까지도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자인 등으로많...
blog.naver.com
아직 다 이해가지는 않지만, 우선 여기까지
나중에 심심할때 또 찾아봐야겠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2월 30일, 그리고 31일 (0) | 2023.01.02 |
---|---|
소파술 3일차 기록 (0) | 2022.06.20 |
All of me - John legend (0) | 2021.07.24 |
최근 일상 - 스타벅스, 전복볶음밥, 애플워치 페이스, 홍만당 (0) | 2020.10.18 |
신라호텔 - 라연 (0) | 2020.10.04 |